데이비드 트랜드가 주장하는 미디어를 통한 급진적 문화민주주의

‘문화민주주의’는 저스틴 루이스의 경우처럼 결국 모든 사람이 현재 참여하고 있는 

예술장르를 질적으로 육성시키는 것을 강조하면서 

자연스럽게 미디어라는 매체와 연관된다. 

미디어를 중심으로 ‘문화민주주의’를 분석한 데이비드 트랜드(David Trend)는 

미국의 국립예술기금(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의 

새무얼 리프만(Samuel Lippman)의 말을 인용하면서 국립예술기금이 지원이 지닌 

보수성을 비판하고 있다. 

새무얼에 따르면, “문화와 민주주의는 공존할 수 없다. 민주주의는 

그 본성상 다수를 대표하며, 문화는 그 본성상 소수에 의해 창조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트랜드는 “이러한 철학을 갖고 있는 국립예술기금(NEA)이 

가장 좋은 시절에조차도 ‘전문적’ 예술가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소명 때문에 

소수집단, 유색인종, 여성, 노약자에 대한 봉사에 신경 쓰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다. 

그는 “1987년에 국립예술기금이 ‘소수집단’을 위한 

‘확장예술프로그램(Expansion Arts Program: 기존의 예술적 테두리를 벗어나서 

존재하는 표현형식의 예술에 대한 지원)’에 

국립예술기금(NEA) 중에 겨우 2.3%만을 지원하였고, 

‘교실 속의 예술(Arts-in-Education)’사업에 소요된 기금은 4%에도 못 미치는 수준 이었다”는 

통계를 인용하면서 국립예술기금은 진보적 예술가에 대한 

지원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즉 “미디어 및 예술분야를 대상으로 한 공공기금은 항상 이들의 기반계층들만 

배타적으로 대면해 왔으며 자유주의적 정치에 의존하고 있는 공영방송국과 

국립예술기금은 상당부분 유럽 중심적이고 부르조아적인 문화를 조달할 수밖에 없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좌파지식인인 그는 “평등주의적 원칙은 국가의 팽창이나 기업의 필요성과 비교할 때 

언제나 부차적이었음”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항적 모델로서 ‘급진적 문화민주주의’를 제시한다. 

그는 결론적으로 이러한 ‘급진적 문화민주주의’운동에 의해 ‘문화’가 지닌 

본질적 성격을 통해 돈과 권력에서 소외된 대다수 사람들의 

문화적 고립을 해소할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을 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문화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새로운 다원주의적 모델을 주장하고 있다. 

즉 세금으로 충당되면서도, 국가에 의해 유지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 

독립미디어 조직들의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틀이 그것이다.

하지만 그의 주장처럼 이상주의적 다원모델의 실현의 전망을 낙관적으로만 

바라보기 어렵다. 

소수민족과 여성 등 사회경제적인 약자 혹은 이러한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자를 대상으로 

의도적, 정책적으로 혜택을 더 주어 지위를 향상시키려는 취지의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6)을 반대하는 미국의 우익 보수파들의 대항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일례로 클링턴대통령 재임시 국가인문위원회 (NEH)의 의장이었던 

셀돈 헤크니 (Sheldon Hackney)는 국가인문위원회의 정책에는 

이러한 원칙을 반영하지 않을 것을 약속함으로써 우파들의 공격 위기를 넘겼으며, 

리차드 로티(Richard Roty)와 같은 철학자도 공공연히 전세계 인종의 10%에도 

못 미치는 소수민족에 대한 특권적 혜택을 비난하였다.

이와 같이 보수파들의 강한 대항 속에서 데이비드 트랜드가 주장한 

‘급진민주주의’ 운동이나 다원주의적 미디어 모델이 단시일 내에 실현되기는 

쉽지 않으리라 전망된다. 

하지만 문화 소외자들에 대한 정부정책의 관심은 비록 그 지원금액의 할당 측면에서 

아직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하더라도 이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비중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견된다. 

왜냐하면 현실적으로 경제사회적 혹은 인종적 이유로 문화에 소외된 계층이 

상당히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정책적 접근 없이 정부의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의 정당성을 확보하기란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최근 문화소외층에 대한 관심이 정책의제에서 

빈번히 등장하고 문화관광부 전체예산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 예산의 비중이 

미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Leave a Reply